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3

헤르만 에빙하우스 독일의 심리학자 헤르만 에빙하우스 기억과 망각 연구 독일 심리학자헤르만 에빙하우스(1850-1909)는 기억과 망각에 관한 실험 연구를 개척한 독일의 심리학자다. 그는 심리학을 철학에서 독립된 과학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실험 심리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바르멘의 부유한 상인 가정에서 태어난 에빙하우스는 김나지움을 마친 후, 본 대학에서 역사학과 언어학을 공부했다. 보불전쟁 참전으로 학업이 잠시 중단되었으나, 1873년 23세에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구스타프 페흐너의 '정신물리학의 요소'에 영향을 받아 베를린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했다. 1879년부터 기억 실험을 시작해 망각곡선 가설과 간격 효과를 발견했고, 1885년 '기억에 관하여'를 출판했다. 베를린 대학 교수가 되어 두 개의 심리학 실험실을 설립했.. 2025. 2. 6.
빌헴름 막시밀리안 분트 심리학의 아버지 빌헬름 막시밀리안 분트(Wilhelm Maximilian Wundt)빌헬름 막시밀리안 분트(Wilhelm Maximilian Wundt)는 실험심리학의 창시자이자 '근대 심리학의 시조'로 평가받는 독일의 저명한 철학자, 생리학자, 심리학자이다. 그는 심리학을 철학의 하위 분과에서 독립된 실증과학으로 발전시켰다. 또한 과학적 방법론에 기반한 실험심리학을 정립하여 현대 심리학의 패러다임을 확립하였다. 특히 그의 연구는 심리학이 철학적 사변에서 벗어나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과학으로 발전하는 데 결정적 전환점이 되었다. 그의 독일에서의 유년기와 학문적 성장 과정은 주목할 만하다. 독일 프로테스탄트 성직자의 자녀로 출생한 그는 초기 교육과정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 13세에 입학한 브루흐잘 김나지움 시절에는 학.. 2025. 2. 5.
기초심리학 및 응용심리학 그 외 다양한 분야 심리학의 다양한 분야심리학은 크게 기초 심리학과 응용 심리학으로 나뉘며, 각 분야는 서로 다른 목적과 방법론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분은 이론적 연구와 실제적 적용의 균형을 이루며 현재까지 심리학의 발전을 이끌어왔다. 기초 심리학은 과학자형 모델을 바탕으로 심리학의 학문적 토대를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험을 통해 기초적 지식과 심리적 기제를 연구하며, 인지심리학, 학습심리학, 발달심리학, 사회심리학, 생리심리학, 신경심리학 등이 포함된다. 기초 심리학은 심리통계, 심리측정, 심리검사 등의 수학적 접근도 포함하여 자연과학의 귀납적 사고와 함께 연역적 사고를 활용한다. 특히 실험실 연구를 통해 인간의 기본적인 심리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얻은 지식은 다른 분야의 기초가 된다. 응용 심리.. 2025. 2. 5.
심리학 연구방법 및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심리학 연구 방법심리학의 연구 방법은 질적·양적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양적 연구는 통계적 방법으로 특성을 수치화하며 기초 분야에서 많이 사용한다. 설문조사, 실험설계, 상관연구 등을 통해 심리 현상의 통용되는 일반법칙을 발견하려 한다. 질적 연구는 소수 사례를 깊이 있게 분석하고 면담, 관찰, 사례연구 등을 통해 개인의 고유한 경험과 심리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며, 주로 임상가들이 사용한다. 주요 연구방법론으로는 다층모형, 구조방정식, 문항반응이론(IRT) 등이 있다. 다층모형은 개인과 집단 수준의 변인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게 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은 다소 복잡한 심리적 구성개념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심리측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이러한 과학적 방법론은 심리학을 .. 2025. 2. 4.
심리학 정의 및 역사 심리학의 정의 및 역사심리학을 정의하자면 다음과 같다. 심리학은 경험과학의 한 분야로 동물(인간 포함)의 행동과 그 행동에 관련된 심리적, 사회적, 생리적 과정 및 이 둘 사이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날 심리학 (Psychology) 은 생각보다 다양한 분야에 공헌하고 있다. 특히 현대 정보화 사회가 도래하면서 인간의 삶의 질과 관련된 문제들이 점차 그 중요성을 증대시키고 있고 이는 사람이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간접적 또는 직접적으로 사람의 행동과 생각에 관련된 연구인 심리학의 학문적 논거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인간의 행동과 기저 원리를 밝히는 심리학은 적성, 감각, 성격, 지능, 지각, 사고 등의 인간 특징들이 고려되어야 하는 문제에 적합하며, 미래 .. 2025. 2. 4.